2025/07/11 3

[청년 귀농 실천 가이드 #45] “시골에서의 하루는 어떻게 다를까?"

"귀농, 머리로만 생각하다가… 시골 친구네 집에 한 달 살아봤습니다" 귀농을 준비하면서 가장 답답했던 건,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데도 몸으로는 도무지 감이 오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는 점이었다.책상 위에서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는 결코 알 수 없는 것이 바로 '농촌에서의 삶'이라는 걸, 어느 순간부터 조금씩 깨닫게 되었다.그러던 중, "농사를 짓는 청년" 모임을 통해 알게 된 한 친구가 “한 달 정도 시골에서 함께 지내보지 않겠냐”고 제안해줬다. 그는 전북 완주에서 실제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고, 마침 농사철을 맞아 도움이 필요하던 참이었다.비공식적인 프로그램이긴 했지만, 친구가 직접 운영 중인 농가에서 지내며 일손을 돕고 농촌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였다. 도시 밖의 리듬을 몸으로 느껴볼 수 있는, 말 ..

귀농과 귀촌 2025.07.11

[청년 귀농 실천 가이드 #44] “땅 계약, 무조건 싸다고 좋은 게 아니더라고요 – 예비 귀농인의 농지 계약 실전 팁”

귀농을 결심한 지 6개월. 농지 조사만 해도 머리가 아팠는데, 이제는 진짜 계약 얘기를 들으니 마음이 더 복잡해졌다. 사실 아직 땅을 계약하진 않았다. 하지만, 여러 지역을 둘러보고 부동산과도 상담하면서 계약 직전까지 갔다가 멈춘 경험이 몇 번 있다.왜냐고?“싸고 넓은데요”라는 부동산 말만 믿고 계약했으면, 몇 천만 원 날릴 뻔한 상황도 있었기 때문이다. 귀농 선배들이 “농지 계약은 신중에 신중을 기하라”고 말한 이유를 이제는 진짜 뼈저리게 느낀다.그래서 오늘은 예비 귀농인이 농지 계약을 고려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실전 팁과 주의사항을 공유해 보려고 한다. 1. 농지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할 7가지① 그 땅의 ‘지목’은 전이나 답인가?→ 농지법상 농사는 전(밭), 답(논)에서만 가능하다.→ ‘대’나 ‘..

귀농과 귀촌 2025.07.11

[청년 귀농 실천 가이드 #43] “농지는 어디서, 어떻게 구하냐고요?

“농지는 어디서, 어떻게 구하냐고요? 나는 지금 발품 팔며 땅을 공부하는 중입니다”귀농을 결심하고 지역과 작물을 대략 정한 후, 가장 현실적인 벽에 부딪혔다. 바로 농지 구하기였다. 처음엔 "그냥 네이버 부동산에서 검색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전혀 다른 세계였다.지금 나는 농지 조사 중이다. 아직 임대도 하지 않았고, 계약은 더더욱 아니다. 다만 어떤 땅이 좋은 땅인지, 내가 원하는 작물에 맞는 토양과 입지는 어떤 조건인지, 행정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를 파악하는 중이다. 처음엔 “농지구입? 대충 싸고 넓으면 되지”라고 생각했다처음엔 그랬다. 그냥 시골에 가면 널린 게 땅인 줄 알았고, 농촌 지역은 도시에 비해 뭐든 저렴할 거라 생각했다. 그런데 현실은 달랐다.농지는 함부로 사고팔 수 없다 ..

귀농과 귀촌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