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과 귀촌

[청년 귀농 실천 가이드 #70] 귀농 교육 어디서 받을까?

윤복E 2025. 7. 20. 17:01

귀농을 준비하는 대부분이 궁금해하는 건 결국 하나입니다.
“어디서, 어떻게 배우는 게 좋을까?”
이제는 단순히 ‘어디서 받아야 하지?’가 아니라, 2025년 실제 운영 중인 교육 시스템

기준으로 비교할 시점입니다.
이번 글은 현재 진행 중인 교육 과정과 신청 정보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귀농 교육 어디서 받을까

 

1.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교육 (무료, 실습 중심)

✔ 인천광역시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교육

✔ 충남 논산시 귀농귀촌 영농기술교육

  • 주관: 논산시농업기술센터(https://seongdong.nonsan.go.kr/nongup/#txt)
  • 운영 기관: 논산시농업기술센터
  • 논산시 농업인 교육( 홈페이지 내 다양한 교육 참고)
  • 교육 일정: 7월 1일 ~ 9월 2일, 매주 화요일 10~17시
  • 총 교육 시간: 10회 70시간
  • 수강 대상: 최근 5년 귀농인 및 예비 귀농인
  • 교육 특징: 토양관리, 작물재배, 스마트팜, 농업경영 등 실습 위주

 

2. 공공기관·대학 교육 (무료/저비용)

✔ 한국농수산대학교 아카데미

  • 운영 기관: 한국농수산대학교 평생교육원
  • 교육 기간: 6월 27일 ~ 11월
  • 과정 구성: 총 20개 과정 (대면 4개, 비대면 16개)
  • 수강 대상: 청년 농어업인 누구나
  • 교육 내용: 농업 관련 법률, 세무, 스마트팜 기술, 현장견학 등
  • 신청 방법: 한농대 홈페이지 및 카카오 채널에서 시작 2주 전 공지

 

3. 시군 단위 현장실습 교육 (실전 중심)

✔ 공주시 귀농귀촌 대상 현장실습

  • 운영 기관: 공주시농업기술센터
  • 교육 기간: 2025년 4월 ~ 11월 (5개월 과정)
  • 참가 대상: 귀농인과 선도농가가 팀을 구성
  • 교육 방식: 작목별 선도농가 현장에서 직접 실습
  • 모집 규모: 10팀 20명 내외

 

4. 민간·청년 창농 타운 교육 (유료/소규모)

✔ 전남 청년창농타운 (전남농업기술원)

  • 운영 장소: 전남농업기술원 청년창농타운 비즈니스센터
  • 교육 규모: 12과목, 총 105시간 / 15일 집중 운영
  • 교육 내용: 창업, 브랜딩, 농업경영 등 청년 맞춤형 커리큘럼
  • 특징: 소규모 집중교육으로 개별 맞춤 지도

 

비교 요약

기관수강대상기간방식비용특징
인천 농업기술센터 인천 시민 100h 이론 + 실습 무료 주 2회 정규반, 대규모
논산 농업기술센터 예비 귀농인 70h 현장 실습 중심 무료 스마트팜, 경영 포함
한농대 아카데미 전국 청년 농어업인 6~11월 대/비대면 과정 무료 법률·세무·견학 강의
공주 귀농 현장실습 귀농 + 선도농가 5개월 현장 교육 무료 추천팀 단위 운영
전남 창농타운 청년 창농 15일 집중교육 유료 브랜딩 중심
 

 

참여 전 체크리스트

1. 신청 관련

  • 교육 시기: 대부분 상반기(3~5월), 하반기(7~10월) 집중 운영 (지자체 프로그램)
  • 접수 방식: 인기 있는 무료 교육은 선착순으로 조기 마감되는 경우가 많음
  • 지역 제한: 지자체 프로그램은 해당 지역 거주민 우선

2. 참여 준비도

  • 출석률: 전 과정 출석이 기본 요구사항
  • 팀워크: 현장실습형 교육은 동료들과의 협력이 중요
  • 사전 지식: 기초적인 농업 이해도가 있으면 더 효과적

3. 비용 및 지원

  • 무료 교육: 지자체 및 공공기관 프로그램이 대부분 무료
  • 유료 교육: 전문성과 개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프로그램
  • 지원 대상: 청년, 귀농 예정자 등 자격 요건 확인 필수

교육은 ‘실전 전의 연습장’

귀농 준비는 현장 경험이 필수다.
교육을 통해 실패를 줄이고,
네트워크를 만들고,
사람과 자연, 체계와 실천을 연결하는 것이다.

 

귀농 교육은 농촌 생활의 '연습장'입니다.

단순히 농사 기술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농촌 사회의 인간관계, 농업 경영의 실제,

그리고 자연과 함께하는 삶의 리듬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

교육을 통해 실패를 줄이고, 동료 농업인들과 네트워크를 만들며,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각자의 상황과 목표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성공적인 귀농 준비의 첫걸음을 내딛기 바란다.